본문 바로가기
투자전략

2025.01.20 국내 증시 동향: 트럼프 취임 앞두고 혼조 마감, 비트코인 신고가 경신 (코스피, 코스닥 특징주)

by 디지털농부_주단 2025. 1. 20.

안녕하세요, 디지털 농부_주단입니다! 👩‍🌾📈

주식과 투자에 관한 다양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나누는 공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.


주식 시장의 흐름을 쉽게 이해하고, 투자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
 

디지털 농부처럼, 한 주식 한 주식 정성껏 살펴보며 여러분의 포트폴리오가 풍성하게 자라도록 돕겠습니다.

 

언제든지 궁금한 점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 함께 소통하며 성장해 나가는 블로그가 되도록 하겠습니다.

여러분의 성공적인 투자 여정을 응원합니다! 🙌

 


1. 주가지수

  • 트럼프 취임 앞두고 국내 지수 혼조 마감
   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기대와 경계감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혼조세로 마감.
  • 원·달러 환율
    15시 30분 기준 원·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6.6원 내린 1,451.7원.
  • 미 증시 휴장
    마틴루터킹 데이 기념으로 미국 증시는 오늘 휴장.

2. 주요 이슈

  • 트럼프 취임
    • 트럼프, 내일 새벽 2시에 취임.
    • 취임 첫날 200개 이상의 행정명령을 쏟아낼 가능성 있음.
    • "내일 우리 국경에 대한 침략이 끝날 것" 발언.
  • 비트코인 신고가 경신
    • 트럼프 취임을 앞두고 비트코인이 상승, 16시 업비트 기준 비트코인 1억 6,159만 원(+4.9%) 기록.
    • 바이낸스 기준으로는 10만 8,520달러로 장중 최고가 기록.
  • 트럼프 2기 관세폭탄 예고
    • 원·달러 환율, 15시 30분 기준 6.6원 내린 1,451.7원.
    • 골드만삭스 "올해 달러가치 5% 이상 상승 예상."
  • 고영, FDA 인증
    • 고영, 자사 뇌수술용 의료로봇 '카이메'가 FDA 인증을 받아 주가 30% 급등.
  • HD현대일렉 실적 미달
    • 4분기 매출 8,157억 원, 영업이익 1,663억 원으로 시장 예상치 미달.
    • 주가 급락.
  • 한은, 성장률 전망 하향
    • 정치 불확실성 등으로 한국은행, 올해 성장률 전망을 1.6~1.7%로 하향 조정.
  • 트럼프 코인·멜라니아 코인 급등
    • 트럼프 밈코인 '오피셜트럼프', 시가총액 한때 14위에 도달.
    • 멜라니아 밈코인도 2만 4,000% 폭등.
  • 젠슨 황, 베이징 방문
    • 엔비디아 CEO, 중국 베이징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행사 참석.
    • 중국 개발자 및 파트너들과의 만남.
  • 빌 게이츠, 재사용 발사체 투자
    • 스토크스페이스에 2억 6천만 달러 투자.
    • 재사용 가능한 중형 로켓 개발 예정.
  • 중국, 기준금리 동결
    • 5년물 LPR 3.6%, 1년물 LPR 3.1%로 3개월째 동결.
    • 춘제 앞두고 지준율 인하 가능성 제기.

3. 내일 주요 일정

  • LGCNS 공모청약 (~22일)
  • 아이지넷 공모청약 (~21일)
  • 피아이이 공모청약 (~21일)
  • 미국 트럼프 당선인 대통령 취임 연설

4. 강세 테마

반도체

  • 주요 기업: 엔비디아, 인텔 급등
  •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: +2.8% 상승
  • 상승 종목: 제주반도체, 퀄리타스반도체, 큐알티, 오픈엣지테크놀로지, 티엘비 등

2차전지

  • 유진투자증권: 에코프로비엠 '매수' 투자의견 상향
  • 전기차 캐즘 극복을 위한 협력: 정부와 산업계의 협력 본격화
  • 상승 종목: 코스모신소재, 엘앤에프, 대한유화, 에코프로비엠, LG에너지솔루션 등

시추 관련주

  • 트럼프 취임 첫날 에너지비상사태 선포 가능성
  • 시추 관련주 상승: 강관, 피팅밸브, 한선엔지니어링 등
  • 상승 종목: 한선엔지니어링, 비엠티, 넥스틸, 화성밸브, 휴스틸, 세아제강 등

탄소배출권

  • 트럼프 2기, 탄소세 도입 가능성
  • 상승 종목: 한솔홈데코, 그린케미칼, 에코아이, 에코바이오, 에코프로에이치엔 등

이 글은 주식 시장과 관련된 최신 이슈와 강세 테마를 간결하게 요약했습니다.

각 주제별로 핵심적인 사항을 강조하여, 블로그 독자들이 빠르고 쉽게 중요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.